Netflix에서 고른 영상에 원하는 자막을 입히는 방법
![]() |
(이미지 출처: https://goo.gl/jezjFr) |
Netflix로 영화나 TV 시리즈를 보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. Netflix가 제공하는 더빙이나 자막의 언어도 더 다양해지고 있습니다. 그런데 Netflix에 영상이 있으나 한국어 자막은 없는 경우, 별도로 구한 자막을 입혀서 Netflix 영상을 보는 방법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.
찾아보니 그런 방법이 예전에 있었으나, 2018년 8월에는 잘 작동하지 않았습니다. 이젠 안되나 싶었으나, 더 찾아보니 조금 번거롭지만 가능한 방법이 있었습니다. 그래서 정리했습니다. 아래 내용은 MS Windows의 비교적 최신 운영체제에서 하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.
간단히 요약하면 이렇습니다.
- Netflix는 웹브라우저에서 바로 서비스를 하기 때문에 Chrome으로 Netflix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- Google Chrome이 웹브라우저이면서, Android 같이 Chrome Web Store를 운영하여 다양한 확장 프로그램으로 기능을 더 발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.
- SubFlicks 사의 Super Netflix라는 확장 프로그램은 Chrome 웹브라우저에서 서비스되는 Netflix 영상에 별도의 자막을 얹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.
A. 먼저 공통 사용환경을 갖춥니다.
A-1. 웹브라우저로 Google Chrome을 띄웁니다.
만약 Chrome이 없다면, 다른 웹브라우저로 https://www.google.com/chrome/ 에 접속한 후,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면 됩니다.
A-2. Chrome에 Super Netflix라는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.
Chrome에서 "Super Netflix"를 검색하거나, 바로 https://goo.gl/CtRGMb 에 접속합니다. 그러면 Chrome Web Store에서 Super Netflix 라는 확장 프로그램 항목을 찾아줍니다. 그리고 이 프로그램을 Chrome에 추가합니다.
A-3. Notepad++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.
웹브라우저에서 https://notepad-plus-plus.org/download/ 에 접속하여 "Notepad++"를 무료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.
B. 다음으로 DFXP 자막을 준비합니다.
바로 아래 부분을 2019년에 덧붙입니다. 2018년 8월에는 아래 '자막넷 자막 변환기'라는 서비스가 없었거나, 또는 제가 찾지 못했습니다. B-1. 자막을 구합니다. 한국어 자막은 흔히 smi 또는 srt 확장자로 되어 있습니다. B-2. 구한 자막을 dfxp 포맷으로 바꿉니다. '자막넷 자막 변환기'라는 웹서비스 http://convert.jamack.net 에 접속하여 smi 또는 srt 등의 자막 파일을 dfxp 포맷으로 쉽게 변환할 수 있습니다. (이 웹서비스를 제게 댓글로 알려주신 wef web 님께 감사드립니다.) |
그런데 제가 해보니 위 상자 안의 방법으로는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들이 있었습니다. 그럴 때 저는 아래 상자 안의 방법을 씁니다.
이 아래 내용은 2018년 8월에 작성한 것입니다. 이제는 '자막넷 자막 변환기'를 사용하면 더욱 편리하기 때문에, 더이상은 아래 내용처럼 복잡하게 하지 않아도 되겠습니다만, 기록으로 남겨둡니다. B-1. 자막을 구합니다. 한국어 자막은 흔히 smi 확장자로 되어 있습니다. 이하에서는 이것을 전제로 합니다. B-2. BOM 없는 UTF-8로 인코딩합니다. Notepad++ 에서 그 한국어 자막을 열고, "인코딩(N) > UTF-8 (BOM 없음)로 변환" 또는 "Encoding > Convert to UTF-8 without BOM)" 설정을 한 후에 저장합니다.
B-3. 자막 SMI 파일을 SRT 파일로 변환합니다. 웹브라우저에서 http://smisrt.com/ 에 접속한 후, 1번에서 자막 파일을 부르고, 2번에서 "SMI → SRT"를 선택합니다. 5번에서 "변환해서 다운로드"를 눌러서 SRT 파일을 저장합니다. B-4. 자막 SRT 파일을 DFXP 파일로 변환합니다. 웹브라우저에서 http://subflicks.com/ 에 접속한 후, "Choose Subtitle File"에서 자막 파일을 부르고, "Download"를 눌러서 SRT 파일을 저장합니다. |
C. 원하는 자막으로 영상을 감상합니다.
C-1. 아래와 같이 해서 잘 되면 그대로 감상합니다.
- "Super Netflix"가 설치된 Chrome으로 Netflix에 접속해서 볼 영상을 고릅니다.
- 윗부분의 "CC"를 눌러서, 미리 준비한 DFXP 자막 파일을 고릅니다.
- 아랫부분의 자막 아이콘을 눌러서, 그 DFXP 자막 파일을 표시하게 합니다.
![]() |
(주황색으로 네모와 동그라미로 표시) |
C-2. 만약 자막이 아주 잠깐만 뜨고 사라지는 문제가 발생한다면,
Notepad++에서 DFXP 자막 파일을 열고, end="00: 을 찾아서 end="10: 으로 바꾸어 보시기 바랍니다. 이렇게 하면 한번 뜬 자막은 다음 자막이 뜰 때까지 계속 보입니다.
이 문제에 대해 저는 그 자막의 시작시각(begin)과 종료시각(end) 간격이 너무 짧게 설정되기 때이었고, 그렇게 된 원인으로 저는 다음과 같이 추측합니다.
- SMI 파일은 시작시각만 설정합니다. 그 다음 자막을 " " 즉 빈칸으로 잡아서 띄우는 것으로 종료시각을 대신합니다. SMI 또는 SAMI는 Synchronized Accessible Media Interchange의 약자이고, SMI 파일은 Markup Language로 되어 있다.
- SRT 파일은 시작시각과 종료시각을 간결하게 담고 있고, SubRip Text File Format 입니다.
- DFXP 파일은 SRT 파일처럼 시작시각과 종료시각을 담고 있는데, SMI 파일처럼 Markup Language 입니다. 더 구체적으로는 Timed Text Markup Language 인데, DFXP는 Distribution Format Exchange Profile 의 약자입니다.
SMI 파일 |
<SAMI> <HEAD> <TITLE></TITLE> <STYLE TYPE="text/css"> <!-- P { margin-left:2pt; margin-right:2pt; margin-bottom:1pt; margin-top:1pt; font-size:20pt; text-align:center; font-family:Arial, Sans-serif; font-weight:bold; color:white; } .ENCC {Name: English; lang:en-US; SAMITYPE: CC;} .KRCC {Name: Korean; lang:ko-KR; SAMITYPE: CC;} --> </STYLE> </HEAD> <BODY> <SYNC Start=0><P Class=KRCC> 첫번째 자막 <SYNC Start=2000><P Class=KRCC> <SYNC Start=3000><P Class=KRCC> 두번째 자막 <SYNC Start=5000><P Class=KRCC> <SYNC Start=6000><P Class=KRCC> 세번째 자막 <SYNC Start=8000><P Class=KRCC> <SYNC Start=9000><P Class=KRCC> 네번째 자막 </BODY> </SAMI> |
SRT 파일 |
1 00:00:00,000 --> 00:00:02,000 첫번째 자막 2 00:00:03,000 --> 00:00:05,000 두번째 자막 3 00:00:06,000 --> 00:00:08,000 세번째 자막 |
DFXP 파일 |
<?xml version="1.0" encoding="UTF-8"?> <tt xml:lang='en' xmlns='http://www.w3.org/2006/10/ttaf1' xmlns:tts='http://www.w3.org/2006/10/ttaf1#style'> <head></head> <body> <div xml:id="captions"> <p begin="00:00:00.000" end="00:00:02.000">첫번째 자막</p> <p begin="00:00:03.000" end="00:00:05.000">두번째 자막</p> <p begin="00:00:06.000" end="00:00:08.000">세번째 자막</p> </div> </body> </tt> |
※ 아래는 제가 참고한 글입니다.
- "Q. Upload custom subtitles is did not work" - SubFlicks 웹사이트에서 개발자가 답변한 내용이 있습니다.
- How To Add Custom Subtitles On Netflix - 이 방법만으로는 한국어 자막이 잘 안되었는데, 인코딩이 문제가 있었던 듯합니다.
※ VPN을 이용하면 Netflix에 접속하는 지역을 실제와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.
- 예를 들어 실제로는 미국에서 접속하면서 마치 VPN을 통해 한국에서 접속하는 것처럼 하면, 한국어 더빙이나 한국어 자막이 있는 콘텐츠만 뜹니다. 반대로 실제로는 한국에서 접속하면서 마치 미국에서 접속하는 것처럼 할 수도 있습니다.
- 유료 VPN 서비스도 있는데, Opera 웹브라우저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면 Opera에 내장된 VPN을 무료로 이용하여 접속지역을 "아시아, 미주, 유럽"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와우;; 쉐임리스 보는데 영자막이라 좀불편했는데 이거로 한번 도전해봐야겠네요. 댓글 잘안남기는데 ㄹㅇ 꿀팁이라 와;;; 될지안될지 몰겠지만 오늘밤 해봐야징 ㅋㅋ
답글삭제해보시고, 혹시 잘 안되면 댓글로 남겨주십시오.
삭제저도 찾아봤는데
답글삭제http://convert.jamack.net
여기서 넷플릭스 SRT SMI 등을 TTML자막 DFXP자막 등으로 한번에 변환 되네요.
좋은 정보 감사합니다!
좋은 정보를 주셔서 감사합니다. 말씀하신 내용을 위 본문에 추가했습니다.
삭제cc 버튼이 없는데 어떡하죠?
답글삭제웹브라우저가 Google Chrome이고, 여기에 "Super Netflix"라는 Extension을 설치하신 것이 맞는지 확인해 보시겠습니까? 제가 방금 제 PC에서 확인했는데, "CC"버튼이 잘 보입니다.
삭제해본대로했는데 아예 cc에서 자막을 선택하고 다시 자막 선택창을 눌렀는데 dfxp자막이 뜨질않아요
답글삭제